(리눅스 2급 2차 시험을 준비하며 공부한 내용을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표준교재로 정리하였다.
생각보다 양이 많다. 생각보다 리눅스 자격증 쉽지않다..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정리>
과목 : 리눅스 일반
리눅스 이해 및 개요 정리 1
리눅스란 무엇일까. 리눅스는 1991년 헬싱키 대학교 Linus Benedict Torvalds 학생에 의해 만들어진 오픈소스 운영 체제이다. 이는 GNU 시스템에 적합한 커널로서 먼저 개발 되었다. 리누스는 타넨바움 교수가 교육목적으로 개발한 미닉스를 사용하다가 유닉스와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초기 리눅스는 i386계열의 유닉스호환 운영체제로서 이식성이 고려되지 않았었다. 초기 버전은 가장 기본적인 커널만을 포함했고, 공식 버전이 출시 된 이후 Bash 와 gcc 즉, GNU bourne-again shell 과 gnu c compiler 가 실행될 수 있었다.
리눅스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는 한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며 하나이상의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동작 시킬 수 있는 다중 처리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은 보호적으로 동작하여 한 응용프로그램 오작동이 전체 시스템을 다운시킴을 방지한다. 또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을 분리관리하여 시스템 안정성이 좋다.
또한 유닉스 기본 설계에 따라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하여 pc서버에서도 엔터프라이즈급 성능과 안정성이 나온다. 그리고 유닉스에서 지원되는 주변장치가 하드웨어는 적지만, 리눅스의 경우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로는 가장 많은 하드웨어 종류를 지원한다. 커널이 오픈소스로 지원되기 때문에, 다양한 채널의 드라이버 제작, 추가될 수 있어 서버용 OS로는 최고의 성능이다.
유닉스의 대용품(윈도우NT,SCO,유닉스웨어,BSD/OS)보다 안정성이 높고 보안이 뛰어나다. 버그가 단 몇시간에 보고되어 수정되기도 한다. 서버 보안상의 문제도 중요한 요소이므로 더욱 서버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이 존재하여(한소프트 리눅스, 한컴 리눅스, 와우 리눅스, 눅스원, 레드햇, 데비안, 슬랙웨어, SUSE 등) 여러 종류나 범위가 커버 가능하다.
다른 특징으로는 다양한 네트워킹 기능, 최다 프로토콜의 지원, 또한 다양한 파일 시스템과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보통의 OS는 자기 고유의 파일시스템만을 지원하나 리눅스는 다른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자료기록 또한 지원가능하고, 현존 OS 서버 중 가장 높은 유용성을 지닌다. 그리고 커널과 함께 인터페이스 소스, 네트워크 도구, 편집기, 개발도구, 조판 시스템, 게임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SMP 와 NUMA 등 다중처리를 지원하며 자용한 사용자 지원으로 상용과 비상용 서비스를 지원한다.
리눅스의 신뢰성 또한 뛰어난데, 데이터를 얼마나 신뢰성 있게 보호하는가 그리고 서버로서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것을 얼마나 신뢰성있게 제공하느냐의 문제가 있다. 리눅스는 데이터보호를 위해 RAID 0, 1, 5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보통은 하드웨어를 통해 신뢰성을 해결하였으나 리눅스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적이다.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RAID level 은 0,1,4,5 이다. 이는 대용량 자료 처리에 유용하고, 현재 저가형 디스크로 레이드 기능 사용하여 하나의 저장장치처럼 쓰는 FTP 미러링을 제공하기도 한다.
RAID 0 : 데이터를 물리적인 장치에 분산시켜 기록하여 데이터를 리딩 속도를 빠르게 한다.
RAID 1 : 똑같은 내용을 다른 장소에 나누어 저장하여 데이터 손상이 복구를 제공한다.
RAID 4,5 : 하나 또는 여러개 드라이브에 패리티 정보 저장해 장애시 데이터 복구 가능
파일 손상 복구는 파일 시스템 상에서 자체 복구 기능을 설계했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리눅스의 EXT2, EXT3 파일 시스템은 설계에 이를 반영하여, 에러 복구율이 높다. 서버용으로 피씨를 사용하는 경우, 도스 공격이나 블루스크린 공격에 대비해야 하는데 리눅스는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을 시스템 모드와 사용자 모드로 구분하여 작동을 감시하며 커널 시스템 접근이 어려워 보호 체계가 뛰어 나다.
리눅스와 마이크로 소프트 계열의 운영체제의 GUI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리눅스, 매킨토시, MS윈도우 이다. 유닉스의 GUI인 엑스윈도우는 1984년 개발이 시작되었고, 1986 처음 상품화 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애플의 매킨토시는 1984년 처음 출시하였고, 가장 나중에 GUI를 도입한 것은 윈도우였다. GUI가 관리성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편리성에서는 아주 뛰어나다.(서버 관리용으로는 단점도 있다.)
유닉스의 다중사용자 설계 기법은 여러 가지 원격 접근을 서용하며, 텔넷이나 문자로 접근 가능하고, 네트워크 엑스 윈도우라면 GUI나 JAVA 관리도구를 사용 할 수도 있다.
단일 사용자를 쓰는 윈도우 NT는 원격접근이 제한 되고, 응용 프로그램을 별도 사용해야 한다. GUI타입의 관리도구가 편리하긴 하지만 대규모 사용자에서는 더 좋다고 할 수 없다. 단순 반복 작업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스크립트 자동화가 편리한데, 윈도우에서는 잘 지원되지 않는다. 리눅스의 강력한 데스크톱 환경으로 KDE, GNOME 이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단기완성, 이틀만에 합격 하기 (0) | 2017.06.14 |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일반 과목 정리 (0) | 2017.06.08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일반 과목 정리 (0) | 2017.06.07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일반 과목 정리 (0) | 2017.06.06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일반 과목 정리 (0) | 2017.06.05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일반 과목 정리 (0) | 2017.06.04 |
댓글